우선 전에 제가 했던 질문에 대해서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그 Table Sorting는 해결이 됐는데요... 다른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것도 좀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elphi에서 지역 DB를 생성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려 합니다.
일단 가장 처음에 하는것이 BDE administrator에서 Alise를 작성해주고...
그 다음은 DataBase Desktop에서 Table을 작성해주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생성된 Table에 저장될수 있는 Data의 양이 정해져 있는지요...
정해져 있으면 어떤 종류의 Table이 가장 많은 저장용량을 가지고 있는지요...
그리고 만약 정해져있지 않다면...
밑에 있는 메세지는 어떤 의미를 뜻하는지 알고싶습니다...
참고로 메세지는 run-time시 발생하는 에러메세지 입니다.
메세지...
1. 처음 메세지
Project dbTest.exe raised exception class EDBEngineError with message
'Read failure File: C:testData Basedata.DBF'. Process stopped.
Use Step or Run to Continue
처음엔 이런 메세지가 뜨면서 더이상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고...
하지만 data는 약 1/10정도(62650개 정도)는 Display 되더라구요..(DBGrid)
그래서 일단 data가 어떻게 생겼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이동을 하려고 하는데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떴습니다.
2. data가 이동시 메세지
앞부분은 똑같고... 'Data Structure Corruption'이라는 메세지가 떴습니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종료시키지 않고 다시 한번 해보려고 data file를 open하려하면
I/O error이 뜹니다.
혹시 위와같은 메세지가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해결방안은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아시는 분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여러 고수님들을 믿고 있겠습니다....
더운데 고생하시고... 건강 조심하세요....
보태기...
참고로 제가 만든 Table은 dBase4 입니다.
저장해야 할 data의 갯수는 최소 60만개 이상입니다...
그리고 에러가 발생해서 delphi를 종료시키고 다시 delphi를 실행시키고...
프로그램을 컴파일해서 재실행하면 저장되는 data의 양이 줄어듭니다...
예를 들면 처음엔 60000개의 data를 저장하고 error이 발생했는데...
delphi를 종료시킨후에 다시 실행시키고 컴파일을 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약 50여개의 data를 저장한 후에 error이 발생합니다.
죄송하지만 꼭 좀 부탁드립니다.
>
> 메세지...
>
> 1. 처음 메세지
> Project dbTest.exe raised exception class EDBEngineError with message
> 'Read failure File: C:testData Basedata.DBF'. Process stopped.
> Use Step or Run to Continue
>
> 처음엔 이런 메세지가 뜨면서 더이상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고...
> 하지만 data는 약 1/10정도(62650개 정도)는 Display 되더라구요..(DBGrid)
> 그래서 일단 data가 어떻게 생겼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이동을 하려고 하는데
>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떴습니다.
>
> 2. data가 이동시 메세지
> 앞부분은 똑같고... 'Data Structure Corruption'이라는 메세지가 떴습니다..
>
> 그리고 프로그램을 종료시키지 않고 다시 한번 해보려고 data file를 open하려하면
> I/O error이 뜹니다.
I'm not sure about DBF's record limitation, but I'm sure it can go over millions records.. However, the error message you're getting looks
like your dbf corrupted. There are many DBF fix & restructuring tools.
Try rebuild index fir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