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 간단한 네트웍 게임을 제작하려 합니다.
초보 델파이 사용자 입니다.

네트웍으로 간단한 게임을 제작해 볼까 합니다.



1. 네트웍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고 받는 방법에 뭐가 있는지 궁금 합니다.

간단한 소스 파일이 있다면 더 좋겠습니다.

tcp/ip 기반인 경우와 ipx 기반의 경우 차이점을 설명해 주시면 더 좋겠구요.



2. 윈도우에서 한번에 두가지 이상의 키 입력을 따로 구분하는법

게임을 만들때 필수인 처리라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이거 하려면 기본적으론 해결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간단한 예제가 있으면 합니다.

api 를 사용하거나 메세지를 가로채야 하는것인지...



이상과 같은 질문입니다.



아직 다이렉트 x 는 넘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뭐 이건 먼 훗날(?) 이야기

이니까요...



아 혹시 추천하는 도서가 있으시다면 연락 주십시오.



끝까지 읽어 주서서 감사 합니다.





2  COMMENTS
  • Profile
    이정욱 1999.05.25 21:18
    그래도 DirectX를 넘보시는것이 훨씬 편하실것입니다.

    일단 네트웍은 Direct Play를 조금 알면 가능해지구..

    키보드제어는 Direct Input을 조금 알면 가능해집니다.

    DelphiX라는 DirectX컴포넌트가 있는데 사용하기는 편합니다.

    초보자들에게는 직접 DirectX를 건드리는것보다 훨씬 좋습니다.

    공개이니 구하실 수 있을것입니다.

    그러나 DirectX에 어느정도 익숙해 지시면 위의 컴포넌트보다 직접 제어를 하시는것이(DirectX를) 편하실 것입니다.



    DirectX의 도움없이 네트웍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하려면 Socket을 이용해서 하면 TCP/IP기반의 네트웍에서 하는 것입니다. WinSock을 사용하면 되죠.

    이미 델파이에 Socket컴포넌트가 있으니 그리 어려운것은 아닙니다. 상대의 IP주소만 알면 바로 연결이 가능해 지죠.



    DirectX의 도움없이 키 입력을 두개이상 받는것도 그리 어려운 문제는 아닐것 같은데요. 그냥 KeyDown이벤트에서 처리를 해주면 안되나요? 될것같은데...

    KeyDown이벤트에서 처리를 해보세요. 그럼..







    박훈철 wrote:

    > 초보 델파이 사용자 입니다.

    > 네트웍으로 간단한 게임을 제작해 볼까 합니다.

    >

    > 1. 네트웍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고 받는 방법에 뭐가 있는지 궁금 합니다.

    > 간단한 소스 파일이 있다면 더 좋겠습니다.

    > tcp/ip 기반인 경우와 ipx 기반의 경우 차이점을 설명해 주시면 더 좋겠구요.

    >

    > 2. 윈도우에서 한번에 두가지 이상의 키 입력을 따로 구분하는법

    > 게임을 만들때 필수인 처리라고 알고 있습니다.

    > 근데 이거 하려면 기본적으론 해결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간단한 예제가 있으면 합니다.

    > api 를 사용하거나 메세지를 가로채야 하는것인지...

    >

    > 이상과 같은 질문입니다.

    >

    > 아직 다이렉트 x 는 넘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뭐 이건 먼 훗날(?) 이야기

    > 이니까요...

    >

    > 아 혹시 추천하는 도서가 있으시다면 연락 주십시오.

    >

    > 끝까지 읽어 주서서 감사 합니다.

    >

    >





  • Profile
    박훈철 1999.05.26 00:15
    direct x 에 관한 좋은(?) 참고 자료가 있다면 소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잘 못찾는지 몰라도 아직 여기에 대해서 이해할만한 책이 없는것

    같습니다.



    더불어.. 그냥 키 다운에서 만들면 한 키가 계속 눌리고 있는 동안

    중간에 다른 키를 누르면 이것이 처리가 되는지요?

    그냥 키 다운에서 받으면 처음키값만 계속 오던데요...



    winsock 으로 하는 예제 있었으면 합니다.

    이해가 느린 편이라 소스를 직접보지 않으면 적응이 안되더군요 흠..





    • 지니
    • 1999.05.26 02:44
    • 0 COMMENTS
    • /
    • 0 LIKES
    • 김 종춘
      1998.09.20 01:55
      파워러브델파이 12월호에 실린 인터넷 익스플로러 콘트롤 사용에서 내용을 인쇄하기위해 OLE를 이용하셨는...
    • 이정욱
      1998.09.21 22:33
      쩝.. 아닌데요.. 다시한번 테스트를 해봤지만 잘되는군요... nilVariant 가 OleVriant형 맞죠? 김 종춘...
    • july
    • 1999.05.26 01:45
    • 0 COMMENTS
    • /
    • 0 LIKES
    • 한경아
    • 1998.09.15 18:05
    • 2 COMMENTS
    • /
    • 0 LIKES
    • 민성기
      1998.09.18 10:31
      파일복사 컴포넌트는 윈도의 SHFileOperation() API가 아닌, BlockRead, BlockWrite등을 이용한 놈입니다. ...
    • 이정욱
      1998.09.17 09:15
      공개되어있지는 않습니다... 저희가 프로젝트때 만들었죠. 창문짱에 쓰였구요... 만약 필요하시면...
    • 서형민
      1999.05.26 06:02
      김윤정 wrote: > 안녕하세요... > API를 공부하기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은 새내기입니다... > > 현재 ...
    • 김윤정
      1999.05.26 17:13
      적어주신 코드는 해당 프로그램 안에서만 Active control을 찾을 수 있는것 같은데요... 저는 윈도우상의...
    • 한경아
    • 1998.09.15 18:05
    • 2 COMMENTS
    • /
    • 0 LIKES
    • 민성기
      1998.09.18 10:31
      파일복사 컴포넌트는 윈도의 SHFileOperation() API가 아닌, BlockRead, BlockWrite등을 이용한 놈입니다. ...
    • 이정욱
      1998.09.17 09:15
      공개되어있지는 않습니다... 저희가 프로젝트때 만들었죠. 창문짱에 쓰였구요... 만약 필요하시면...
    • 박성준
      1998.07.30 02:26
      델파이에서 말이죠? 저는 델파이를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공부를 열...
    • 류종택
      1998.09.16 05:47
      박성준 wrote: > 델파이에서 말이죠? > 저는 델파이를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 다름이 아...
    • 고은실
    • 1999.05.25 22:35
    • 1 COMMENTS
    • /
    • 0 LIKES
    • 서형민
      1999.05.26 05:51
      고은실 wrote: > outline사용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treeview와 비슷한 화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알...
    • 한경아
    • 1998.09.15 18:05
    • 2 COMMENTS
    • /
    • 0 LIKES
    • 민성기
      1998.09.18 10:31
      파일복사 컴포넌트는 윈도의 SHFileOperation() API가 아닌, BlockRead, BlockWrite등을 이용한 놈입니다. ...
    • 이정욱
      1998.09.17 09:15
      공개되어있지는 않습니다... 저희가 프로젝트때 만들었죠. 창문짱에 쓰였구요... 만약 필요하시면...
    • 신인재
      1998.09.15 10:06
      정 영민 wrote: > 안녕하세요.. > ms sql에서 image 필드를 이용하니까 32k만 들어가는군요... > 혹시 3...
    • 최석기
    • 1999.05.25 19:52
    • 1 COMMENTS
    • /
    • 0 LIKES
    • 이정욱
      1999.05.25 21:25
      감영대님의 팁게시판에 가시면 설치된 Modem 리스트 구하기 란 팁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최석기 wro...
    • 김대영
    • 1998.09.14 21:49
    • 2 COMMENTS
    • /
    • 0 LIKES
    • Trex98
      1999.01.15 03:26
      김대영 wrote: > 저는 델파이를 사용하는 초보자 입니다. > 델파이에서 세이브 스크린에 대해서 알고자 ...
    • 이정욱
      1998.09.15 00:31
      질문의 정확한 요지를 모르겠습니다. 세이브 스크린이란....? 조금 더 자세히 설명을 해주세요. 무엇을 ...
    • 이정욱
      1999.05.25 21:24
      아래를 보니 DPR소스에서 ExistPrevInst라는 변수를 정의하고 사용했나보네요. 그렇다면 DPR소스안에 무슨...
    • 김대영
    • 1998.09.14 21:49
    • 2 COMMENTS
    • /
    • 0 LIKES
    • Trex98
      1999.01.15 03:26
      김대영 wrote: > 저는 델파이를 사용하는 초보자 입니다. > 델파이에서 세이브 스크린에 대해서 알고자 ...
    • 이정욱
      1998.09.15 00:31
      질문의 정확한 요지를 모르겠습니다. 세이브 스크린이란....? 조금 더 자세히 설명을 해주세요. 무엇을 ...
    • 박훈철
    • 1999.05.25 18:46
    • 2 COMMENTS
    • /
    • 0 LIKES
    • 이정욱
      1999.05.25 21:18
      그래도 DirectX를 넘보시는것이 훨씬 편하실것입니다. 일단 네트웍은 Direct Play를 조금 알면 가능해지구...
    • 박훈철
      1999.05.26 00:15
      direct x 에 관한 좋은(?) 참고 자료가 있다면 소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잘 못찾는지 몰라도 아직...
    • 신인재
      1998.09.15 10:06
      정 영민 wrote: > 안녕하세요.. > ms sql에서 image 필드를 이용하니까 32k만 들어가는군요... > 혹시 3...
    • 이정욱
      1999.05.25 21:51
      아래처럼 해보세요. Str에 RTF의 내용을 넣는 방법(편법인지도) 입니다. 하지만 직관적이고 쉬우니 좋죠....
    • 최희성
    • 1998.07.25 03:00
    • 1 COMMENTS
    • /
    • 0 LIKES
    • 이정욱
      1998.09.07 02:18
      네.. 죄송합니다. 지난 7월부터 파워러브 델파이는 새로운 탄생을 하면서 다시 정기적인 발간을 약속드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