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socketconnection 컴포를 이용해서 3tier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가 조언을 부탁드리고 싶은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PDC와 BDC 개념의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2대가 있고, 클라이언트에서는
PDC로 접속하다가 PDC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BDC로 접속을 해야 합니다.
소켓의 인스턴싱은 멀티풀입니다.
우선 connection의 셋팅은 PDC로 고정을 시켜 놓았는데,
connection fail이 발생시 코딩상에서 BDC로 접속할 수 있게끔 할 수 있습니까?
나름대로 노력해보았는데..
(Server의 Registry에 등록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GUID와 ClassID 등의 정보를 통해
connection이 변경될 수 있는지도 시도해보았습니다만...안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혹 가능하다면 길만이라도 제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아직 그다지 능숙하질 못해 고수님들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하구요..늘 행복하세요.
Fail Over를 구현하신 다는 것이..
PDC가 연결이 끊어 졌을때의 정보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BDC로 연결 되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연결 정보는 포기하고, 다시 접속만 해 주어도 되는지 모르겠네요.
전자의 경우는..저두 무르겠구요..
후자의 경우는 미리 BDC의 IP를 가지고 있다가 연결이 끊어진 시점에서 IP바꾸어 주구 다시 연결 하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을랑가 모르겠네요..
sallyslaw wrote:
> 안녕하세요?
>
> 저는 지금 socketconnection 컴포를 이용해서 3tier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 제가 조언을 부탁드리고 싶은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PDC와 BDC 개념의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2대가 있고, 클라이언트에서는
>
> PDC로 접속하다가 PDC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BDC로 접속을 해야 합니다.
>
> 소켓의 인스턴싱은 멀티풀입니다.
> 우선 connection의 셋팅은 PDC로 고정을 시켜 놓았는데,
> connection fail이 발생시 코딩상에서 BDC로 접속할 수 있게끔 할 수 있습니까?
>
> 나름대로 노력해보았는데..
>
> (Server의 Registry에 등록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GUID와 ClassID 등의 정보를 통해
>
> connection이 변경될 수 있는지도 시도해보았습니다만...안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
> 혹 가능하다면 길만이라도 제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 아직 그다지 능숙하질 못해 고수님들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
> 그럼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하구요..늘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