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아폴론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책을보고 해도 안만들어 지든게 만들어 지네요...이 은혜를 어찌해야 할지...
테이블을 만들고 보니 또 궁금한게 생긴네요...
질문 1.
Personal Oracle을 사용하는데 어찌 Database file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Client를 사용할 경우 DB file은 server에 저장 된다고 Q&A에서 보았는데..
Personal Oracle같은 경우는 자체 PC에 저장되어야 되는게 아닌지....
질문 2.
델파이에서 Datasource, Query, DBGrid를 불러놓고 DBGrid에 Table내용을 표시하려고
하는데.. query의 conponent중 Activity를 "True"로 하려고 하니 Password를 묻는
메세지가 나오더라구요...
UserName : MYNAME
Password : ??? 에는 무엇을 넣어야 되는지 모르겠네요...
요즘 새로운것을 접하다 보니 질문이 많아 졌네요..
아침 저녁으로 선선하네요...환절기 감기 조심하시고 항상 행복하세요....
먼저 책을 보셔야 합니다. 개념이 확실해야 사용도 확실히...
오라클디비의 최상위 개념은 TableSpace라는 것이 있어요.
이넘도 오라클 플러스로 만들죠
테이블을 만들었다니 테이블스페이스는 넘어가죠(사실 잘 몰라요)
이제 테이블을 사용 할 수 있는 권한을 주어야 합니다.
권한을 줄 때 유저명과 비빌번호도 같이 주는데
UserName : MYNAME
Password : ??? --->요기에 비밀번호를 써 주어야 겠네요
Tdatabase 컴포넌트를 가져다 놓고(아래 님 답변 참조) 설정을 해주면
쿼리시에는 유저명과 비밀번호를 물어보지 않습니다.
아, 그리고 데이타 파일은 생겨요
스페이스 만들때 경로도 지정해 주는데요 보통 오라클내의 ORADATA 속에 데이타파일을
만들죠 거기에 데이타가 저장되죠..
에궁 맞나 몰르것당...
어디까지나 참조만 하세요
아기코알라 wrote:
> 먼저 아폴론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
> 책을보고 해도 안만들어 지든게 만들어 지네요...이 은혜를 어찌해야 할지...
> 테이블을 만들고 보니 또 궁금한게 생긴네요...
>
> 질문 1.
> Personal Oracle을 사용하는데 어찌 Database file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 Client를 사용할 경우 DB file은 server에 저장 된다고 Q&A에서 보았는데..
> Personal Oracle같은 경우는 자체 PC에 저장되어야 되는게 아닌지....
>
> 질문 2.
> 델파이에서 Datasource, Query, DBGrid를 불러놓고 DBGrid에 Table내용을 표시하려고
> 하는데.. query의 conponent중 Activity를 "True"로 하려고 하니 Password를 묻는
> 메세지가 나오더라구요...
> UserName : MYNAME
> Password : ??? 에는 무엇을 넣어야 되는지 모르겠네요...
>
>
> 요즘 새로운것을 접하다 보니 질문이 많아 졌네요..
>
> 아침 저녁으로 선선하네요...환절기 감기 조심하시고 항상 행복하세요....
>